XDL 엔진

1 엔진을 위한 환경
1.1 운영체제

Windows 10 64bit 이상
Windows Server 2016 이상


1.2 IDE

Microsoft Visual Studio 2022 64bit 이상
.NET Framework 4.8 이상


1.3 하드웨어 요구사항

1.6 GHz or faster processor
1 GB of RAM (1.5 GB if running on a virtual machine)
More than 400 MB memory for each XDL View(PlanetView 2D/3D, ImageView, MilmapView, VideoView 등)
5.0 GB of available hard disk space
OpenGL 3.0 or above (프레임버퍼 지원 버전)
1 GB of Graphic card memory
NVIDIA graphics devices are highly recommended
1024 x 768 or higher display resolution

2 XDL 구성
DLL 라이브러리 는 어셈블리 DLL과 비관리 DLL로 나뉜다. 애플리케이션 구현시 어셈블리 DLL 파일은 실행 폴더에 자동 로컬 복사가 가능하지만 비관리 DLL인 경우 자동 복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설치 파일을 이용하여 XDL 라이브러리를 설치한 경우 시스템의 환경 변수 중 Path에 실행폴더(예: c:\Pixoneer\XDL3.0\bin)가 등록되어 애플리케이션 런타임시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XDL 비관리 DLL 파일을 로컬 복사하면 된다.
설치 파일을 이용하여 XDL 라이브러리를 설치한 경우 시스템의 환경 변수 중 Path에 실행폴더(예: c:\Pixoneer\XDL3.0\bin)가 등록되어 애플리케이션 런타임시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XDL 비관리 DLL 파일을 로컬 복사하면 된다.
DLL 라이브러리 파일과 더불어 Resource 폴더의 파일 시스템 환경 변수에 등록된 XDL_Home을 확인하여 라이브러리에 필요한 다양한 파일을 검색하여 활용하고 있다.

실행 파일의 상위 폴더로 Resource 폴더를 확인하고 있는 경우 해당 경로를 이용하여 XDL 실행에 필요한 다양한 파일의 경로를 설정한다. Resource 폴더가 실행 상위 폴더에 없는 경우 시스템 환경 변수에 등록된 XDL_Home의 정보를 이용하여 Resource 폴더 경로를 설정한다.

NXMilmap용 XMilmapConfig.xml 파일은 NXMilmapEngine 초기화시 매개변수로 환경설정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는 XMilampConfig.xml 파일로 파일이름을 고정할 필요도, 특정 파일 경로에 위치해 있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해 NXPlanet의 XDLConfiguration.xml 파일은 엔진 내부에서 자동으로 실행 파일 상위 폴더의 Config 폴더 내에서 XDLConfiguration.xml 이라는 파일을 검색해서 NXPlanetEngine을 초기화한다. Reousrce 폴더의 파일을 검색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니, XDLConfiguration.xml 파일 경로를 설정에 유의하길 바란다.
2.1 애플리케이션 배포시 유의사항

아래의 항목을 복사 또는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해 본다.

비관리 DLL

Config 폴더의 XDLConfiguration.xml

Resource 폴더의 파일



3 XDL Configuration
NXPlanet용 XDLConfiguration.xml 파일과 NXMilmap용 XMilmapConfig.xml 파일의 자세한 설정방법은 ConfigManaual.pdf를 참고하기 바란다.